점프메뉴

  • 노동건강연대
  • English
  • mobile
  • 로그인
  • 노동건강연대는?

노동건강연대

헤더 링크

  • 구독
  • 회원가입

주메뉴

  • 찾아보기

  • Home
  • 주요활동
  • 칼럼
  • 자료실
  • 계간 노동과건강
  • 노동건강연대는?
    • 창립선언문
    • 주요사업
    • 우리가 가는 길
    • 회원가입
    • 오시는길
노동과건강
계간지 목차와 기사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표지' 분류를 클릭하면 각 호의 표지를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표지를 클릭하면 그 호의 목차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글 갯수
32
태그 목록
  • 게시판
  • 블로그
  • 웹진
  • 갤러리
목록
제목
필자
  • 표지 노동과 건강 2019 봄 통권 96호 file
    노동과건강(96호)_2019.png
    다운받기  : 노동과건강(96호)_2019_봄.pdf



    노동과건강 2019 첫 호

     

     

    편집국에서

     


    특집 기업살인

    2018년 기업살인 – 원하청 관계에서의 사망을 중심으로 / 한지훈

    기업살인법, 비관과 낙관 사이에서 상상해 본다 / 전형배

    2018년 겨울, 범인은 누구인가 - 김용균의 죽음 앞에서 / 전수경

     

     

    기획좌담

    미투의 시대, 일하는 여성의 세상에서 본 미투

    김명희 / 편집위원장

    이 을 / 한국여성노동자회

    전수경 / 직장갑질119

    김성이 / 시민건강연구소

     

     

    해외연구 동향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은 효과가 있었나 / 이주연

     

     

    해외소식

    긱 이코노미와 노동자 권리, 끝나지 않는 투쟁 / 박진욱

     

    캐런 메싱 강연 후기

    노동자와 대화하지 않거나, 노동 현장을 관찰하지 않을 때 연구자에게 일어나는 일

    : 공감 격차 줄이기 / 이나단

     

     

    영화

    국가부도의 날: 누구의 위기였고 누구의 기회였나 / 김정우

     

    책 

    의료영리화가 지워버린 간호사의 목소리 - 『코드 그린』 북토크 참관기 / 한지훈

     

    대표의 편지

    김용균의 죽음이 남긴 질문, ‘안전’이 아닌 ‘정치’의 의미를 물어야 한다 / 이상윤

     




    이 게시물을...
  • 표지 노동과 건강 2018 여름 통권 95호 file

    노동과건강 2018 여름 - 표지 FN-01(홈페이지).jpg

    기관지 전체를 pdf 파일로 다운받아 보실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하기 : 노동과건강_2018 여름 01 SPD.pdf) 


     

    편집국에서


    기획  우리 곁의 이주노동자

    이주노동자, 누가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고 있나       
    이주연
    '수단’에서 ‘존재’로 가는 길 - 고용허가제 폐지를 이야기할 때
    이현서
    이론적 평등과 실질적 차별 - 이주노동자의 안전과 건강
    정해명
    외국인 건강 보장 정책의 문제점과 이주노동자 차별
    이애란
    상추 따고 집을 짓는 수십만의 이주노동자가 있다 -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
    전수경


    환경 대담 

    노동 보건 환경의 올라운드 플레이어, 김신범 부소장
    김명희


    문송면 30주기 특별대담 <노동자가 되지 못한 노동자> 

    30년 전 온도계공장은 아직 없어지지 않았다 / 전수경
    정다운 장애인차별철페연대 활동가
    이율도 이주노조 활동가
    허환주 프레시안 기자


    지상중계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노동자건강권

    해외이슈

    유독 화학물질이 들어간 페인트 제거제를 퇴출시킨 미국의 시민운동
    박진욱


    현장스케치

    대안을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 - 문송면원진노동자 산재사망 30주기 추모위원회 활동

    정우준


    영화  

    공학도의 눈으로 바라본 쥬라기월드 : 폴른킹덤
    한지훈


    대표의 편지

    이주노동자 건강과 안전, 다시 시작하겠습니다
    이상윤
    이 게시물을...
  • 표지 노동과 건강 2018 봄 통권 94호 file

    노동과건강 2018 봄 - 표지 001-01.png

    기관지 전체를 pdf 파일로 다운받아 보실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하기 - 노동과건강_2018_봄_94호.pdf )


    편집위원회로부터 김명희 


    대담  문재인 정부의 노동행정, 느낌과 진단 

    누구 편이냐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노동자에게 도움이 되나 -노동행정과 근로감독을 보는 눈

    강태선 김명희 정해명 전수경


    기획 I  기업살인, 기업에 대해 더 많이 말하기

    평판보다 이윤이 중요하다 - 기업 살인이 멈추지 않는 이유

    김명희 

    '기업살인'의 렌즈로 본 2017 산재사망통계

    기업살인법연구모임 

    기업이 관행이라고 말하니 법원이 이해해 준다 - 2015년 강남역 스크린도어 사망사고 1심 판결문 분석

    정우준 

    영국과 미국은 기업주를 처벌하고 있다

    박진욱

    노동자의 죽음에 계몽의 슬로건으로 답하다

    전수경 


    기회II 환경 지역 건강이 만나는 현장을 찾아

    산업단지 주변 주민들이 생각하는 환경과 건강

    임지애

    문제가 일어난 지점에서 문제와 씨름하며 태어난 석탄화력반대운동

    유종준 당진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전수경

    지상중계  직장인들이 서로를 위로하는 방법 - <직장갑질119> 의 카톡방에서 일어나는 일들

    직장갑질119 스탭


    해외소식

    오바마는 매년 성명을 발표했고, 트럼프는 하지 않았다 - 산재사망 노동자 추모의 날 (Workers' Memorial Day)


    서평 

    현장을 바꾸긴 어려워도 현장은 중요하다 - 캐런 메싱 <보이지 않는 고통>

    이주연


    대표의 편지

    감추어진 현실을 더 많이 드러내는 것이 새로운 운동

    이상윤

    이 게시물을...
  • 표지 노동과 건강 2017 겨울 통권 93호 file


    93호 표지.JPG 


    사당동에서


    대담I   

    옆구리 내줄 여유가 있어야지, 각자도생이다 그러면 노조 못 만듭니다

    이남신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


    대담II

    각자도생과 21세기 복지의 풍경 - 불안정 고용시대의 사회보장을 다시 생각함

    김정숙· 전수경 ·정성철 / 김명희 


    초점

    공론화 이후 더 많은, 더 좋은 탈핵을 이야기하기 김현우

    1981년 만든 법을 그대로 두고 개혁은 어렵다 유성규


    현장

    메탄올 노동자 6명 사회복지 분투 정우준

    그 곳에 노동자가 있다 - 핵발전 비정규직노동자 실태 조사 강언주


    기획

    기록하고 되짚다

    속깊은 대화 : 앞이 보이지 않게 된 노동자들과 함께 한 1년

    메탄올 세 가지 키워드1 - 왜 막지 못한 것일까

    메탄올 세 가지 키워드2 - 완전범죄를 모의하는 파견노동

    메탄올 세 가지 키워드3 - 갑질 하는 산재보험

    스토리펀딩과 토크콘서트 후기


    해외소식

    수돗물 오염에 맞선 미국 플린트시 주민들의 투쟁 강언주


    서평 

    20년 전의 성찰은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 김동춘『사회학자 시대에 응답하다』를 읽고


    대표의 편지

    정치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활동하기 위하여

    이상윤

    이 게시물을...
  • 표지 2015년 겨울호 file

    2015 겨울 표지.jpg 


    기관지 전체를 pdf 파일로 다운받아 보실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하기 - 노동과건강_2015 겨울 92 pdf.pdf )


    생각나누기 ㅣ 박근혜 정부의 '노동개혁' 이슈는 노동자 건강 이슈


    특집1 ㅣ위험은 불평등하다

     

                고발전문 단체? 계속 할 수 밖에 없는 일


                살인기업선정식, 10년을 함께 하는 기업들

    현대건설/대우건설/GS건설/우정사업본부/현대중공업/삼성물산/대림산업
    롯데건설/포스코건설/사조산업/SK건설/원진레이온/한국철도공사/현대산업개발
    현대자동차/두산건설/대우조선해양/동부건설/유성엔지니어링/현대제철

    조선소 잔혹사


      현대중공업 하청노동자 사망이 쇼킹하다고?


    연구노트 위험의 하청화 실태 및 개선방안 모색


    국가인권위원회 '산재위험직종 실태조사' 연구결과 


    기획       기업살인법, 만들 때가 왔다. 


    여전히 우리에게 필요한 기업살인법
     
                    세월호와 만난 영국, 호주의 기업살인법(간담회)
                    세월호와 만난 영국, 호주의 기업살인법.pdf 

    특집2 ㅣ 젊다고 건강한건 아니다

    <카드뉴스> 아르바이트 500만 시대! 일을 하다 다친다면?

    잉여와 자립, 그리고 노동

                    헬조선시대, 청년의 노동과 건강

    기고  


                    또 발생한 수은중독, 지금은 분명 21세기 인데 

    노동법 이야기 


    '노동개혁'이 청년 일자리 만든다고? 

    하해성의 희망 노가리


    반말이 존댓말이 되게 한 힘, 기승전 노동조합 

    생활의 발견


    양평을 떠나다 

    진료실 이야기


             현명한 건강검진

    2015 하반기 정부동향 


                     2015 하반기 정부동향
    이 게시물을...
  • 표지 THE KILLED AND INJURED : A TALE OF... file
    HHI(Hyundai Heavy Industry) Workplace Injury Network & http://www.pressian.com/

    The killed and injured - A tale of hyundai shipyard.jpg 


    HHI(Hyundai Heavy Industry) Workplace Injury Network 

    - Solidarity for Worker’s Health (SWH)

    - Korea Trans-National Corporation Watch (KTNC Watch)

    - In-house Subcontract Workers’ Union in HHI (an affiliate of Korean Metal Workers` Union)


    Tel +82-2-364-1210

    Website address www.unsafehhi.org

    Email address unsafehhi@gmail.com


    Open access. Some rights reserved

    HHI Workplace Injury Network want to encourage the circulation of its work as widely as possible while retaining the copyright. 

    - You are free to copy, distribute, display and perform the work;

    - You must give the original author credit;

    - You may not use this work for commercial purposes;

    - You may not alter, transform, or build upon this work


    Preface of  <The Cruel history of Shipyards> Click



    Table of Contents


    1. Fall to sea! Why didn't they call 119 ?  click 


    2. "Wish I could remove the word of 'suicide' covered with my husband" click 


    3. 13 deaths within a year at the 'death factory'... what happened? click


    4. [Infographic] People in the 'hell ship', how were they killed? click


    5. 'Shipyard ghost story', the same death in 2014 as 1994 again? click


    6. Head opened, leg broken.. No Worker's Compensation! click


    7. Blowing the whistle "How did I blackmail them?" click


    8. 'Smashing' subcontracting companies, 'choking' workers  click


    9. "Occupational injury?" You didn't call 119, did you?  click


    10. "Nobody stops running on a single log bridge" click


    11. "What is should be like... what it really is like"   click


    12. 'Old' blacklist, still valid?  click


    13. "Jeong Mong-joon is coming to HHI to collect bills"  click


    14. Pyramid contract 'Mul-yang team', causes death   click


    15. Norwegian Press reported 'Hyundai Heavy Industry Worker's fatality'... 

         "Shocking information" click



    Original press list(Korean) : http://www.pressian.com/news/review_list_all.html?rvw_no=104

    이 게시물을...
  • 표지 2015년 봄호 file

    2015 봄 표지.PNG


    기관지 전체를 pdf 파일로 다운받아 보실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하기 - 노동과건강 - 2015 봄호.pdf )


    생각나누기 ㅣ 장그래에게 쓰는 편지 (노동과건강_91_01 장그래에게 쓰는 편지.pdf)


    기획 ㅣ국제 심포지엄 "침몰한 생명과 안전 무엇이 필요한가"

      정상 사고와 페리여객선 참사 ; 국제적 관점에서 본 산업재해의 원인과 결과

     

                공공안전과 기업의 법적 책임 : 기업살인법의 재난예방효과

    1. 캐나다에서 기업에 대한 형사처벌
    2. 기업살인법 ; 호주 경험에 대한 소개
    3. 캐나다와 호주의 경험에 대한 질의 응답
    노동과건강_91_02_국제심포지엄-침몰한 생명과안전 무엇이 필요한가 ; 정상사고와 페리여객선 참서 국제적 관점에서 본 산업재해의 원인과 결과.pdf
    노동과건강_91_03_국제심포지엄 침몰한 생명과 안전 무엇이 필요한가 - 공공안전과 기업의 법적 책임 ; 기업살인법의 재난예방효과.pdf 


    특집 ㅣ 현대중공업의 하청노동자 사망


      현대중공업의 해외투자자 노르웨이, 네덜란드 연기금에 대한 대응활동

              노동과건강_91_04_현대중공업의 해외 투자자 노르웨이 네덜란드 연기금에 대한 대응활동.pdf 

      일하다가 사망한 하청 노동자, 왜 자살이라 하나

      (바로가기 : http://old.laborhealth.or.kr/40313 )


    일본에서 온 편지


    일본의 석면피해자 국가배상 판결, 한국을 돌아보다\

                    노동과건강_91_06_일본의 석면피해자 국가배상 판결, 한국을 돌아보다.pdf 


    해외이슈


    미용노동자의 직업병과 건강문제 
                    노동과건강_91_07_미용노동자의 직업병과 건강 문제.pdf 

    노동법 이야기

    원인터네셔널을 고발한다면
    어떤 나라의 비정규직 대책
                   노동과건강_91_08_원인터네셔널을 고발한다면.pdf 

    이야기의 힘 ㅣ 노동자 건강의 법과 현실


    2014년 겨울 새로 노무사시험을 통과한 새내기노무사들을 모시고 <노동자 건강의 법과 현실> 이라는 강좌를 열었다. 산재와 직업병에 대해서 법적인 인정기준을 알고, 보상받는 방법론에 대해서 아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이 번 강좌는 그 이면의 정치사회적 맥락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1강 에서 의학적 의료적 건강담론이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이야 기하고, 2강에서는 노동운동과 노동자건강권 운동의 관계를 돌아보았다.

    이 지면에서 소개하는 것은 3강 ‘법이 가르쳐주지 않는 것들’ 과 4강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알바,하청노동자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대한 것이다. 학문적 운동적 연구와 노동현장에 대한 관리감독 영역을 두루 경험 하고, 다시 학교로 돌아가 안전과 환경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는 전문가의 이야기를 들려 드리고, 이어서 지금 이 시간 노동현장의 최전선에서 부조 리와 부당함에 맞서 싸우고 있는 두 노동자와의 대화를 들려드리고자 한다. 법을 공부하든 그렇지 않든 노동과 건강의 현실 너머 정치사회적 맥락을 이 해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시길 바란다. (편집자)

     

      법이 가르쳐주지 않는 것들 - 굴뚝 청소부와 미친 모자장수

    맥도날드 알바와 조선소 하청, 햄버거와 조선소는 닮았다

    (다운로드 받기) 노동과건강_91_09_노동자 건강의 법과 현실 1_법이 가르쳐 주지 않는 것들 - 굴뚝 청소부와 미친 모자장수 2_맥도날드 알바와 조선소 하청, 햄버거와 조선소는 닮았다.pdf 


    하해성의 희망 노가리

    작은 교육 하나가 신선한 바람을
                   노동과건강_91_10_작은 교육 하나가 신선한 바람을.pdf

    진료실 풍경

    암 검진을 받아야 하나
                    노동과건강_91_11_암 검진을 받아야 하나.pdf 

    생활의 발견

    국수리 할머니들 대 탐구
                    노동과건강_91_12_생활의 발견국수리 할머니들 대탐구.pdf 
    이 게시물을...
  • 표지 2014년 여름호 file

    노동과건강 90호 표지.jpg 


    기관지 전체를 pdf 파일로 다운받아 보실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하기 - 노동과건강_90호 (2014년 여름호).pdf )




    여는 말 


    세월호를 기억하기 위하여 ㅣ 세월호를 잊지 않기 위한 싸움



    생각나누기 ㅣ 공장에서 생산하는 시대가 끝난다면


    기획 ㅣ빈곤과 복지

      1. 주거 빈곤과 복지사각지대 - (반)지하 주거를 중심으로

        2. 복지가 버린 빈곤 범죄가 접수하다


    특집 1ㅣ 의료민영화


         갈 때 까지가려는가, 박근혜 정부의밀어부치기


    특집 2ㅣ 산재보험 50년


         영혼 없는 산재보험 50년 이대로가야 하나

         레미콘 노동자의 산재보험


    노동법 이야기


      기업살인법, 법기술 논쟁보다 중요한 것


    이야기의 힘


      생산과 정치의눈으로 보아야 한다 -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해외이슈


      UCLA 화학실험실 사고, 교수의 책임을 묻다



    진료실 풍경


              서는 자리가 바뀌면 풍경도 달라지는가


    하해성 활동가의 희망노가리


              싱겁지만 파란만장 노동조합 이야기 



    생활의 발견


            우리마을에는 짐승도 많이 살고 있다



     동향


    하청노동자 5명 사망 현대제철, 벌금 5천만원 판결

    2014살인기업 선정식



    < 알림 :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상시적으로 기관지 구독회원과 후원회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노동건강연대의 기관지는 여러분들의

               구독과 후원으로 만들어진답니다.

     

               회원에 가입하실 분들은 홈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시면,

               손쉽게 가입이 가능하십니다 ^^  (http://old.laborhealth.or.kr/donation)

               정기구독을 원하실 경우, 

               구독료는 한권에 8천원, 1년에 4번 발간됩니다.(정기구독자 1년 3만원)

     

               또한,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지나간 계간지도 판매(1권 5천원)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02-469-3976~8 으로 전화 /

                laborhealthh@hanmail.net 로 메일주세요 ^^>



    이 게시물을...
    이 게시물을...
  • 표지 2014년 봄호 file

    노동과 건강 89호 표지.jpg


     * 이번 호 부터는 전체 파일을 pdf로 제공합니다. 

                (다운로드 : 노동과건강_89_내지_온라인_전체.pdf)  


    <초록색으로 된 각각의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하는 글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 >


    여는 글



    생각나누기 ㅣ 2014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베트남...

    (http://old.laborhealth.or.kr/39239 )



    특집 ㅣ 실태조사에 비친 노동자의 오늘


       1. 농촌으로 간 이주 노동자들은 어떻게 되었나

       2. 비정규노동의 최전선 안산시흥, 파견노동의 생얼

          (http://old.laborhealth.or.kr/39239 )

         3. 재활? 다시 일어서기? 산재노동자를 찾아서

       4. 30가지 업무에 점심시간은 19분 - 가사관리 노동자의 건강



    노동관건강이 만난 사람


      건강은 좋은 정치로부터 나온다

        - '건강할 권리'의 저자 김창엽



    노동법 이야기


      통상임금, 법관들이 나서서 정리해 주시네


    해외이슈


      삼성전자 납품업체 중국공장의 맨발의 노동자들


    진료실 풍경


              건강검진, 기다림의 끝에 오는 허전함



    생활의 발견


            오래된 마을에서 나무의 나이를 묻다



     동향


    기업살인운동 2014 (http://old.laborhealth.or.kr/40385 )

    정부동향 노동건강연대 동향 



    < 알림 :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상시적으로 기관지 구독회원과 후원회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노동건강연대의 기관지는 여러분들의

               구독과 후원으로 만들어진답니다.

     

               회원에 가입하실 분들은 홈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시면,

               손쉽게 가입이 가능하십니다 ^^  (http://old.laborhealth.or.kr/donation)

               정기구독을 원하실 경우, 

               구독료는 한권에 8천원, 1년에 4번 발간됩니다.(정기구독자 1년 3만원)

     

               또한,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지나간 계간지도 판매(1권 5천원)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02-469-3976~8 으로 전화 /

                laborhealth@yahoo.co.kr로 메일주세요 ^^>



    이 게시물을...
  • 표지 2013년 가을호 file

    노동과 건강 88호 표지.jpg


    <초록색으로 된 각각의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하는 글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 >


    여는 글



    생각나누기 ㅣ 노예처럼 일하는 것 같아요_전수경



    기획 


       우리나라 직업성 암 실태 및 관리제도 개선 방향 _ 강희태

       한국노동자의 정신겅강 안녕한가 _ 이태경

       사업장 산업안전보건 감독이 효과를 내려면 _ 이상윤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90%는 지는 현실, 좌절하느라 힘 빼지 말아요 

        -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소장 이남신 _ 전수경



    노동법 이야기


      노동법 자본의 협력자로 탄생하다 _ 유성규


    눈여겨볼 연구


              유럽의 직업관련성 정신질환의 인정실태 _ 노동과 건강 편집위원회

              하청노동자가 직면한 우울과 불안, 통계로 밝혀내다 _ 노동과 건강 편집위원회


    해외이슈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파견노동자의 알권리에 관한 법' _ 박진욱



    해외판례


              해외 산재 판결 소개



    활동보고 1  유럽방문기


       베를린 런던 헬싱키, 노동자를 존중하는 사회 _ 박혜영



    활동보고 2  


             노동자로 인정받는 것이 급하다 - 가사관리사 실태조사 진행기 _ 이서치경


    활동보고 3  


             고객만족은 어디에서 오는가 - 가사관리사 일일체험기 _ 이서치경



    생활의 발견


             할머니의 뒷모습은 왜 똑같은거지 _ 이서치경

     

     

    < 알림 :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상시적으로 기관지 구독회원과 후원회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노동건강연대의 기관지는 여러분들의

               구독과 후원으로 만들어진답니다.

     

               회원에 가입하실 분들은 홈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시면,

               손쉽게 가입이 가능하십니다 ^^  (http://old.laborhealth.or.kr/donation)

               정기구독을 원하실 경우, 

               구독료는 한권에 8천원, 1년에 4번 발간됩니다.(정기구독자 1년 3만원)

     

               또한,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지나간 계간지도 판매(1권 5천원)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02-469-3976~8 으로 전화 /

                laborhealth@yahoo.co.kr로 메일주세요 ^^>


    이 게시물을...
  • 표지 2012년 가을겨울호 file

    노동과 건강 87호 표지.jpg


    <초록색으로 된 각각의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하는 글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 >


    여는글



    생각나누기 ㅣ 

                          무뎌지지 말고 인정하지 말고 ㅣ 전수경



    연중기획_ 노동안전 행정과 사법체계


               노동안전보건 행정의 문제와 개혁방안 _ 이상윤

               산재사망에 대한 법원의 소극적 태도를 비판함 _ 유성규



    특집1_ 감정노동


      감정노동 : 가면의 노동, 허물어지는 건강 _ 박주영

      감정노동이 건강을 해친다 _ 이태경

      '소비의 지점'과 보건의료노동자의 감정노동 _ 임준


    특집2_ 돌봄노동


      돌봄노동자의 노동조건과 건강문제 _ 강희태

      은평 돌봄노동자 교육 프로그램 현장보고 _ 이서치경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노조를 만들었다 변화가 시작됐다

        - <희망연대노조 120 다산콜센터지부> 문교택 사무국장 _ 전수경



    법의 이면


      노동법 울타리 밖에 있는 천만명 _ 유성규 



    해외이슈


      파키스탄 카라치의 '알리 엔터프라이즈' 의류공장 화재 _ 박진욱

      노동과 건강을 위한 국제연대 _ 미국공중보건학회 참가기 _ 김명희 



    해외판례


      은행지점장 전속 운전기사의 과로사 



    눈여겨볼 연구


      영국의 경기 침체기와 자살 사이의 관련성 연구 _ 정책국



     

    생활의 발견 


              집을 사다 두번째 이야기 - 농촌에 집을 산다는 것 _ 이서치경 



     

    < 알림 :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상시적으로 기관지 구독회원과 후원회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노동건강연대의 기관지는 여러분들의

               구독과 후원으로 만들어진답니다.

     

               회원에 가입하실 분들은 홈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시면,

               손쉽게 가입이 가능하십니다 ^^  (http://old.laborhealth.or.kr/donation)

               정기구독을 원하실 경우, 

               구독료는 한권에 8천원, 1년에 4번 발간됩니다.(정기구독자 1년 3만원)

     

               또한,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지나간 계간지도 판매(1권 5천원)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02-469-3976~8 으로 전화 /

                laborhealth@yahoo.co.kr로 메일주세요 ^^>


    이 게시물을...
  • 표지 2012년 여름호 file

    노동과건강표지.jpg

    <초록색으로 된 각각의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하는 글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 >


    여는 글



    생각나누기 ㅣ 쉽지만 어려운 이야기_전수경



    연중기획 


       노동안전보건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_조기홍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노동안전보건 _ 이상윤



    특집_ 더 많은 휴가가 필요하다


      경쟁력의 언어에 휩싸인 휴가 _ 김영선

      더 많은 휴가가 필요하다 _ 이상윤

      7일의 휴가에 감추어진 진실 _ 유성규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니 고향이 중심이야 변방은 없어"

        - <지구인의 정류장> 김이찬 감독 _ 전수경



    법의 이면


      인간은 쉬고 싶다 _ 김민영

      전기원 노동자 사망과 한전의 법적 책임 _ 박혜영



    해외이슈


      영국 건설 노동자, 블랙리스트에 맞서 싸우다 _ 박진욱



    해외판례


      '과로자살'과 회사책임에 대한 일본 법원의 판결



    눈여겨볼 연구


      성과급제는 아담 스미스의 의견처럼 산업재해 가능성을 높이는가 _ 정책국



    진료실 풍경


      할머니와 열사병 _ 이화평



    이야기의 힘



    노동건강연대는 4.28 세계 산재사망 노동자 추모일을 맞아 지난 4월 3강의 연속강좌를 열었다. 사회 정의와 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노동의 문제도 보편적인 사회문제로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지난 봄호에 이어 강좌를 지상으로 만나보고자 한다. 


    3개의 강좌는


    1강 건강에도 있다, 1:99의 양극화 ( 임준 / 노동건강연대 집행위원장)

    2강 반쪽의 과학, 여성노동자의 건강을 숨기려는 불편한 진실 ( 정진주 / 사회건강연구소 소장)

    3강 홍삼먹고 야근하는 사회에 날리는 똥침 ( 김명희 / 시민건강증인연구소 연구원)


    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노동건강연대 특강 : 당신의 건강과 정의

    반쪽의 과학, 여성 노동자의 건강을 숨기려는 불편한 진실 _ 정진주

            (3강 바로가기 : 홍삼먹고 야근 하는 한국사회에 날리는 똥침) 

          



    생활의 발견


    집을 사다_첫번째 이야기 _ 이서치경




     

     

    < 알림 :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상시적으로 기관지 구독회원과 후원회원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노동건강연대의 기관지는 여러분들의

               구독과 후원으로 만들어진답니다.

     

               회원에 가입하실 분들은 홈페이지 오른쪽 상단의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시면,

               손쉽게 가입이 가능하십니다 ^^  (http://old.laborhealth.or.kr/donation)

               정기구독을 원하실 경우, 

               구독료는 한권에 8천원, 1년에 4번 발간됩니다.(정기구독자 1년 3만원)

     

               또한, 노동건강연대에서는 지나간 계간지도 판매(1권 5천원)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02-469-3976~8 으로 전화 /

                laborhealth@yahoo.co.kr로 메일주세요 ^^>


    이 게시물을...
  • 쓰기
  • 첫 페이지
  • 1
  • 2
  • 3
  • 끝 페이지
Board Search
검색
취소

사이드바 위젯

  • 분류

    • 노동과건강
      • 표지
      • 2003년
        • 2003년 여름호
        • 2003년 가을호
      • 2004년
        • 2004년 봄호
        • 2004년 가을호
      • 2005년
        • 2005년 봄호
        • 2005년 여름호
        • 2005년 가을호
        • 2005년 겨울호
      • 2006년
        • 2006년 봄호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0년 봄호
        • 2010년 여름호
        • 2010년 가을호
      • 2011년
        • 2011년 봄호
        • 2011년 여름호
        • 2011년 가을호
        • 2011년 겨울호
      • 2012년
        • 2012년 봄호
        • 2012년 여름호
        • 2012년 가을겨울호
      • 2013
        • 2013년 가을호
      • 2014
        • 2014년 봄
        • 2014 여름
      • 2015
        • 2015년 봄
        • 2015년 겨울호
      • 발간자료
        • THE KILLED AND INJURED : A TALE OF HYUNDAI SHIPYARD
      • 2017년
        • 2017년 겨울호
      • 2018년
        • 2018년 봄호
        • 2018년 여름호
      • 2019년
        • 2019년 봄호
  • 배너

    • 청년노동 서바이벌 책 신청
    • 2019 산재노동자 지원사업
    • 열개의 진료실 가이드
      • 메탄올 백서
  • 이슈 태그

    • 간접고용
    • 건강권
    • 기업살인
    • 노동자건강
    • 비정규직
    • 사내하청
    • 산재보험
    • 산재사망
    • 영세사업장
    • 원청
    • 특수고용

추가된 사이드바 위젯

      • 노동과건강
        표지
        노동과 건강 2019 봄 통권 96호
        노동과 건강 2019 봄 통권 96호

부메뉴

  • ▲ 맨 위로
  • (구)상담실
  • (구)열린마당

풋터 위젯

  • 시스템 :: 풋터에 적용되는 내용(주소, 전화번호 등)




      

    노동건강연대로고.jpg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상상청(9동) 303호 (03371) 

                                     phone.png 02-469-3976 mail.png laborhealthh@hanmail.net [FAX] 02-6944-9055

    No Copyright, just CopyLeft!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한 게시물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wered by XE hosted by Jinbo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