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프메뉴

  • 노동건강연대
  • English
  • mobile
  • 로그인
  • 노동건강연대는?

노동건강연대

헤더 링크

  • 구독
  • 회원가입

주메뉴

  • 찾아보기

  • Home
  • 주요활동
  • 칼럼
  • 자료실
  • 계간 노동과건강
  • 노동건강연대는?
    • 창립선언문
    • 주요사업
    • 우리가 가는 길
    • 회원가입
    • 오시는길
전체 글 갯수
1,150
태그 목록
  • 게시판
  • 블로그
  • 웹진
  • 갤러리

구의역 3주기, 청년들의 죽음을 막는 '법'

  • 날짜
    2019.06.11 14:35:12
  • 작성자
    노동건강연대
  • 분류
    기자회견
  • 조회 수
    259
  • 주소
    http://old.laborhealth.or.kr/46433


<구의역 3주기, 청년들의 죽음을 막는 '법'>


3년 전 이맘 때, 서울의 구의역은 포스트잇으로 뒤덮였습니다. ‘외주화가 사람을 죽였다’의 외침, ‘너의 잘못이 아니야’라는 위로와 더불어 앞으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염원이었습니다. 구의역 김군의 사망은 앞 선 두 번의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와 같은 방식이었습니다. 그 죽음은 예방 할 수 있었다는 말입니다.


우리는 죽음을 예방하는 법을 만들라 이 자리에 섰습니다. 1년에 2,400명씩 일을 하다가 죽습니다. 구의역에 모인 수많은 시민들이 알았던 그 이유를 정말 모릅니까. 대통령이 산재사망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하지만, 현실에선 떨어짐, 끼임 같은 예방 가능한 원시적인 사망이 줄을 잇습니다, 이 죽음의 더 근본적인 이유를 모릅니까. 위험의 외주화는 일상이 되었고, 원초적인 사고는 모두 위험의 외주화 속에 가장 아랫 단계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 낮은 일자리에서 이 나라를 지탱하는 사람들이 일을 하다가 죽음을 당합니다.


190527 구의역 3주기 기자회견.jpg


사람을 죽이는 구조를 바꾸기 위한 법이어야 합니다. 그래서 산업안전보건법을 개정해야 했고, 기업에 의한 살인을 처벌하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만들자 요구했습니다. 2016년에서 2018년이 되어서 여전히 매년 2,400명씩 노동자가 죽어나가고, 태안화력의 김용균이 산재로 사망했을 때, 그 요구는 더 커졌습니다. 작년에 통과된 산업안전보건법은 수많은 죽음을 가슴에 묻으면서 발판삼아 개정된 법입니다. 현실에서는 정체조차 모르던 산업안전보건법이 많은 이들의 입에 오르내렸습니다. 그 역사적인 사건의 시간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정부의 약속은 거짓이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의 구체적 행동 지침인 시행령과 시행규칙에는 위험의 외주화를 도려낼 방법이 보이지 않습니다. 태안화력의 김용균 동료들이 살아갈 현장이 그 법에서 빠졌습니다. 이 나라에 일하는 현장은 드넓은데 적선이나 하듯 아주 적은 범위에만 법이 적용되도록 하위법령을 만들어버렸습니다. 위험의 외주화가 그를 죽게 했다고 인정했던 정부는, 그 현장을 외면하며 오로지 적극적이고 의도적으로 위험의 외주화를 방치했습니다.


지난 4월 10일 김태규 노동자가 추락하여 죽었습니다. 가족들이 의문을 품지 않았다면, 그저 그 노동자의 잘못으로 치부되는 사건이었을 겁니다. 5월에도 한전에서 하청노동자가 추락해 죽었습니다. 한전은 지속적인 안전장비 교체 요구도 무시했습니다. 알려지지 않은 죽음이 어제도, 오늘도, 지금도, 내일도 분명히 많습니다. 단언할 수 있습니다. 하루 평균 6명의 노동자가 죽는 나라입니다. 이들은 법의 보호 없이 죽어도 되는 사람들 입니까? 앞으로도 계속 죽어도 되는 사람들 입니까? 차라리 위험의 외주화를 보호 하겠다 선언하는 겁니까?


산업안전보건법은 사람을 살리는 법의 기초여야 합니다. 사람을 죽이는 구조에서 사람을 살리는 구조로 바꾸기 위해, 하위법령은 무엇보다 위험의 외주화를 직시하고 큰 뼈대를 구성해야 합니다. 그래야 이윤만을 위해 움직이는 기업이 안전을 고려하며 움직입니다. 더 나아가, 사람을 죽이는 기업은 더 강력하게 처벌 하겠다 천명해야 합니다. 기업에 의한 살인을 우리 사회는 묵과하지 않겠다고 소리쳐야 합니다.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만들어내야만, 노동 하는 이의 삶을 구체적으로 지키고 죽음으로부터 예방하는 일을 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는 예방을 원합니다. 내일은 오늘보다 나아지게 하겠다는 의지가 우리를 이 자리에 서게 했습니다. 기술은 확장되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할 것처럼 세상은 움직이는데, 사회를 지탱하는 노동을 하는 사람들은 원시적으로 죽습니다. 누가 이 사회를 만들고, 유지하고, 발전시켜나가는지, 그 사람들은 어느 현장에 있는지 잊으면 안 됩니다. 위험이 외주화 된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 하루하루 일상을 사는 사람들을 모른척하면 안됩니다. 그 사람들이 서 있는 곳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개정되어야 합니다.


2019년 5월 27일
위험의 외주화 금지 약속 파기 규탄 및 산업안전보건법 하위법령 개정 촉구 
청년, 시민사회 단체 공동 기자회견 참가자 일동

이 게시물을...
태그
구의역
기업살인
스크린도어
  • 파일 순서: 
    1/1
    파일 이름: 
    190527 구의역 3주기 기자회견.jpg
    (파일 크기: 
    96.0KB, 
    다운로드 횟수: 
    2)
  • 목록 보기
목록
번호
제목
날짜
46896
기자회견 국민과의 약속이다. 문재인 정부는 위험의 외주화...
2019-09-04
46877
성명 불법파견 확정 판결! 한국도로공사는 톨게이트 요...
2019-09-02
46842
기자회견 현대기아차 비정규직 김수억 지회장 40도 폭염 속...
2019-08-13
46685
기자회견 김용희 삼성 해고노동자 단식 36일, 고공농성 29...
2019-07-10
46656
기자회견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한다.
2019-07-04
46638
활동 보고 제31회 산재사망 노동자 합동 추모제
2019-07-01
46582
기자회견 도시가스 안전검검 여성노동자들은 안전하게 일할 ...
2019-06-19
46565
기자회견 김용균 없는 김용균법 시행령 제대로 다시 만들어...
2019-06-17
46494
성명 우리는 결코 위축되지 않고 싸움을 이어갈 것이다
2019-06-11
46474
기자회견 병원의 본질적인 서비스가 뭘까요? - 서울대병원 ...
2019-06-11
46452
공지사항 일 하다 죽은 모든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를 추모...
2019-06-11
46439
공지사항 <2019 서리풀학당> 빨간맛 비틀즈가 온다
2019-06-11
-
기자회견 구의역 3주기, 청년들의 죽음을 막는 '법'
2019-06-11
46430
성명 [성명] 죽음의 외주화 상징이 된 발전소, 무엇...
2019-05-24
46132
기자회견 2019 최악의 살인기업_포스코건설
2019-04-24
46091
기자회견 재벌 대기업 청부입법으로 과로사를 합법화 하는 ...
2019-04-02
46027
기자회견 밀실야합을 사회적 대화로 포장하는 정부와 경사노...
2019-03-12
45968
공지사항 (기획강연) 기업살인법을 들이셔야 합니다
2019-02-28
45961
기자회견 한화 대전공장 폭발사고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촉...
2019-02-28
45791
공지사항 유가족과 함께하는 기업처벌 이야기마당 (속기 포...
2019-02-18
  • 목록 보기
  • 쓰기
  • 첫 페이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끝 페이지
Board Search
검색
취소

사이드바 위젯

  • 분류

    • 주요 활동
      • 공지사항
      • 성명
      • 논평
      • 기자회견
      • 활동 보고
      • 총회
  • 배너

    • 청년노동 서바이벌 책 신청
    • 2019 산재노동자 지원사업
    • 열개의 진료실 가이드
      • 메탄올 백서
  • 이슈 태그

    • 간접고용
    • 건강권
    • 기업살인
    • 노동자건강
    • 비정규직
    • 사내하청
    • 산재보험
    • 산재사망
    • 영세사업장
    • 원청
    • 특수고용

추가된 사이드바 위젯

      • 노동과건강
        표지
        노동과 건강 2019 봄 통권 96호
        노동과 건강 2019 봄 통권 96호

부메뉴

  • ▲ 맨 위로
  • (구)상담실
  • (구)열린마당

풋터 위젯

  • 시스템 :: 풋터에 적용되는 내용(주소, 전화번호 등)




      

    노동건강연대로고.jpg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684 상상청(9동) 303호 (03371) 

                                     phone.png 02-469-3976 mail.png laborhealthh@hanmail.net [FAX] 02-6944-9055

    No Copyright, just CopyLeft!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한 게시물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wered by XE hosted by JinboNet